페미니즘69 젠더에 대한 고찰 2 신치아 아루짜Cinzia Arruzza 번역: 두견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몇가지 대표적인 이론과 분석들을 깊이있게 검토하고 평가하면서 억압과 착취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분석과 이론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3.8 여성의 날이 있는 3월을 기념하며 이 글을 번역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신치아 아루짜는 이탈리아 급진좌파 조직인 ‘시니스트라 크리티카’의 주요 멤버였고 현재 뉴욕의 ‘뉴스쿨 오브 소셜 리서치’에서 철학 조교수이자 페미니스트 및 사회주의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재생산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저술을 해 왔고 저서로는 , 등이 있다. 글이 상당히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연.. 2023. 3. 29. 젠더에 대한 고찰 1 신치아 아루짜Cinzia Arruzza 번역: 두견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몇가지 대표적인 이론과 분석들을 깊이있게 검토하고 평가하면서 억압과 착취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분석과 이론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3.8 여성의 날이 있는 3월을 기념하며 이 글을 번역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신치아 아루짜는 이탈리아 급진좌파 조직인 ‘시니스트라 크리티카’의 주요 멤버였고 현재 뉴욕의 ‘뉴스쿨 오브 소셜 리서치’에서 철학 조교수이자 페미니스트 및 사회주의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재생산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저술을 해 왔고 저서로는 , 등이 있다. 글이 상당히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연.. 2023. 3. 15. 삶 만들기와 사회적 재생산 아사드 하이더Asad Haider, 살라르 모한데시Salar Mohandesi 번역: 두견 공장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남성 임금 노동자의 투쟁이 더 중요하고 우선이며 노동계급을 대표한다는 전통적 입장이 어떻게 현실과 어긋나게 되면서 사회적 재생산의 문제가 계급투쟁의 중요한 고리가 되었는지를 역사적이고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글이다. 이 글의 필자인 아사드 하이더는 Viewpoint Magazine의 편집자이자 의 저자이다. 살라르 모한데시는 의 편집자이다. 은 마르크스주의의 급진적 재해석과 혁신을 추구하는 ‘전투적 연구집단’이라고 스스로를 규정하고 있다. 출처: https://viewpointmag.com/2015/10/28/making-a-living/ 숨겨진 거주지 몇 가지 사소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샤를 .. 2023. 1. 8. 재생산 권리와 장애인 여성 일반적으로 '재생산 권리'는 재생산 및 재생산 건강과 관련된 법적 권리 및 자유로 인정되지만 이러한 권리는 전 세계 국가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특정 그룹의 여성이 완전히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산드라 다니엘스sandra daniels의 연설에서 가져온 것이다. 산드라 다니엘스는 장애인이며 영국의 좌파 활동가이다. 출처: https://anticapitalistresistance.org/reproductive-rights-and-disabled-women/ 세계보건기구는 재생산 권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재생산 권리는 모든 부부 및 개인이 자녀의 수, 간격 및 시기를 자유롭고 책임 있게 결정하고 이를 위한 정보와 수단을 가질 수 있는 기본권, 그리고 성적 및 재생산 건강의 최고 기준을 달성할 .. 2022. 11. 24. ‘페미’로 낙인찍힌 닷페이스 제대로 바라보기 박철균 "페미니즘 채널"이라고 낙인을 뒤집어 씌우는 닷페이스에 어떤 컨텐츠가 있는지 다시 확인해 보았다. 너무나 많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얘기가 나왔는데, 그 중에서 아무래도 현재 하는 활동이 활동인지라 닷페이스에서 다룬 장애 이슈만 확인해 보았다. -장애로부터 손을 자유롭게 해주는 놀라운 장갑 (2016. 10. 18.) https://youtu.be/faktMvqlj6Q -일상이 올림픽인 장애인들의 도전 (2016. 11. 10) https://youtu.be/fZs-JKUpsRY -나 박경석, 개가 아니라 인간이다 (2017. 3. 28) https://youtu.be/waC7pKE5a0c -장애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 | 스타트업 토도웍스 인터뷰 (2017. 4. 20) https://youtu.. 2022. 1. 25. 세상읽기 – 대선/여가부 해체/멸공 챌린지/돈룩업 전지윤 ● 진보좌파에게는 역대 가장 우울한 대선 이번이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는 프레임은 선정적, 편파적 보도에 매달려온 족벌언론들의 자가발전적 성격이 크다. 예컨대 족벌언론들만 보면 이재명은 대장동 비리의 몸통이자 의심스러운 죽음들의 배후조정자가 돼 있다. 그러다가 김건희 녹취록이 문제가 되자 태도를 180도 바꿔서 ‘정책은 사라지고 말초적 논란만 판치고 있다’고 나무란다. 기막힐 일이다. 이를 통한 정치혐오의 득세는 결국 가장 부패한 기득권 세력들에게 득이 될 것이다. 다만 이번 대선이 진보좌파에게는 최악인 측면이 있는 건 맞다. 진보좌파 후보들의 존재감이 이처럼 희미한 적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임을 불리한 언론 구도와 기득권 양당구조에게만 돌릴 수는 없는 일이다. 촛불 이후 5년에.. 2022. 1. 18. 우리 곁에 있는 “살육(Cannibal) 자본주의” 지난 30년 동안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는 좌파에게 가장 설득력 있는 아이디어들을 제공해 왔다. 프레이저가 페미니즘에 경제 엘리트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억압의 근본 원인을 공격할 수 있는 노동계급 정치를 수용할 것을 요구할 때와 같이 이러한 생각은 때때로 정치적이다. 다른 한편, 프레이저가 자본주의와 자본주의가 의존하지만 완전히 종속적이지는 않은 "배경 조건" 사이의 상호 작용을 분석할 때와 같이 이러한 생각은 때때로 강력하게 이론적이다. 곧 출간할 책에서 프레이저의 최근 작업은, 그녀가 "살육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의 돌진하는 재앙을 피하기 위해 실천적이고 이론적인 것의 종합을 추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삶의 모든 영역에 침범함으로써, 자신의 생존 조건, 그리고 더 중요한.. 2021. 12. 20. 신자유주의 렌즈를 통해 본 노동력과 사회적 재생산 닐 포크너Neil Faulkner 번역: 두견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의 뒤를 따라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더 정교하게 발전시키려는 시도를 담은 글이다. 가치 창출, 노동력 및 사회적 재생산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을 확장하려고 한다. 이 글은 이미 앞서 소개한 같은 필자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혁신을 시도하는 글(https://www.anotherworld.kr/990)에서 이어지는 것이고 상호보완적인 내용이다. 이 글의 필자인 닐 포크너Neil Faulkner는 고고학자, 역사학자, 그리고 러시아 혁명의 민중사, 그리고 의 저자이며 활동가이다. 현재 영국에서 ‘반자본주의 저항’Anti*Capitalist Resistance이라는 단체를 결성해 좌파 재결집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그.. 2021. 11. 19. 트랜스젠더 해방과 마르크스주의 올해 상반기에 영국에서 출판된 책인 는 자본주의에서 트랜스젠더 억압의 뿌리와 구조를 분석하는 다양한 글들의 모음집이다. 주로 마르크스주의 전통에 서 있는 필자들의 다양한 관점과 분석들을 담고 있는 이 책에 대한 두 가지 서평을 모아서 번역 소개한다. 비록 이 책이 아직 한국에 번역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트랜스젠더 억압과 트랜스포비아, 트랜스 배제적인 일부 페미니즘, 트랜스 해방 등이 갈수록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고민과 논의를 진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번역: 두견) ● 마르크스주의와 트랜지션 테리 콘웨이Terry Conway가 줄스 조앤 글리전Jules Joanne Gleeson과 엘르 오어로크Elle O'Rouke가 편집한 플루토Pluto 출판사의 의 새로운 출판을 리.. 2021. 10. 16. 상호교차성과 마르크스주의: 비판적 역사기록 애슐리 보러(Ashley Bohrer) 번역: 두견 이 논문의 필자인 애슐리 보러(Ashley Bohrer)는 시카고에 기반을 둔 학자이며 활동가이다. 노트르담Notre Dame 대학의 젠더 및 평화 연구 조교수이다. 우리가 어떻게 억압과 착취 사이의 복합적 관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가에 대해 탐구해 오면서, 현대 자본주의 아래의 인종, 젠더, 계급, 섹슈얼리티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왔다. 이 논문에서 보러는 우리가 현대 권력 관계를 이해할 수 있으려면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구조 안에서 이 모든 측면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상호교차성 이론과 마르크스주의의 종합을 시도한다. 글이 매우 길고 좀 학술적이고 어렵게 쓰여졌지만,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상호교차성, 사회적 재생산 등에 대한 고민과 논의를.. 2021. 6. 19. 인종주의와 인신매매의 신화 - 1 낸시 린디스판(Nancy Lindisfarne) & 조나선 닐(Jonathan Neale) 번역: 윤미래 인신매매 신화는 미국의 우익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이 발명했다. 그것은 사실과 다르고, 인종주의적이며, 성노동자들에게 위험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페미니즘적이고 좌익적이라고 여긴다. 이 기사는 이 모순을 논쟁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이 글의 필자인 독립적 사회주의자인 낸시 린디스판(Nancy Lindisfarne)과 조나선 닐(Jonathan Neale)은 미국과 영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 왔고, 제국주의, 기후정의, 젠더 억압과 젠더 정의 등에 대한 많은 글을 써왔다. 조나선 닐의 , , 등은 국내에도 출판돼 있다. 글이 길어서 몇 번에 나누어 연재한다. 이것은 1편이다. 출처: https:/.. 2021. 3. 13. [박노자] '진짜 남자'란 무엇인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며칠 전에 제가 2월23일에 몇 분의 러시아/구소련 출신의 여성 동료들에게 '축하' 메시지를 받은 일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왜 그 날에 '축하'가 오나 싶어서 생각해 봤는데, 아참, 러시아에서 그 날이 '조국 방위자의 날'이라는 걸 그 때 깨달은 것입니다. 소련 시절에는 2월23일은 소련 군대의 명절이었는데, 지금 '조국 방위자의 날'이 된 거죠. 그러면 병역 면제자인 저를 이 '국군의 날'을 기해 '축하'하는 이유는? 소련도 그렇고 러시아도 그렇지.. 2021. 3. 2.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