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읽기

[박노자] 서방과 우크라이나가 범한 실수들

by 다른세상을향한연대 2024. 1. 9.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러시아 혁명사 강의>, <당신들의 대한민국>, <우승열패의 신화>, <나를 배반한 역사>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이제 머지 않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은 2년째가 될 것입니다. 일면 강국 러시아의 인접 약소국 우크라이나 침공이지만, 또 일면으로는 이는 세계 최강의 군사 동맹인 나토가 러시아와 벌이는 대리전, 즉 우회 전쟁이기도 합니다. 미국만 해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군사 지원은 무려 450억 달러 정도입니다.

도합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50여개국이고, 노르웨이 같은 경우에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데에 자국 GDP1,7%나 사용해온 것입니다. 러시아는 아무리 강국이라 해도 작년 러시아의 군사 총예산 (820얻 달러 상당)은 우크라이나가 받고 있는 전체 지원 총액보다 좀 적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여태까지 지원해온 돈과 무기 등에 비해서는 우크라이나가 작년에 거둔 성과는 다소 좋지 않았습니다. "대반격"은 실패했으며, 결국 2023년말에 우크라이나가 탈환한 영토보다 잃게 된 영토는 몇 평방 킬로 더 많았습니다. 서방의 압도적인 우크라이나 지원 만큼이나 푸틴에 대한 러시아 사회의 지지 역시 여전히 압도적이었습니다.

역사적으로 푸틴의 지지율은 60% 이하로 떨어진 적은 거의 없었지만, 지금 현재 지지율은 85% 정도로, 지난 24년 동안 가장 높은 쪽에 속합니다. 러시아가 이미 적어도 4-5만 명 (실질적으로는 아마 그것보다 2배 이상 더 많을 겁니다)의 사망자를 낸 전쟁 와중인데도 말입니다. 푸틴 독재의 철석 같은 지지 기반과 우크라이나의 다소 미미한 전쟁 성과는 일단 서로 연결돼 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일 것입니다.

독재자에 대한 "높은 지지율"은 그 군에 지원자가 오고 있다는 것과 병사들의 사기가 비교적 높다는 것 등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과연 서방 내지 우크라이나가 이 지지 기반을 붕괴시킬 수는 있었을까요? 만약 붕괴시킬 수 있었다면 왜 못하고 말았을까요?

러시아 국민들이 왜 수 차례의 전쟁을 감행해온 독재자를 이처럼 거의 종교적으로 (?) 따르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대중 독재인 푸틴 독재의 "동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들은 실리와 명분입니다. 실리의 차원에서는, 푸틴 독재는 과거 소련 시대의 재분배 시스템 (무상 의료와 일부분의 무상 교육, 노후 연금 등)을 어느 정도 계속 가동시키는가 하면, 전쟁마저도 재분배 메커니즘으로서 이용합니다. 군인들이 비교적 높은 전시 임금을 받으며, 전몰 군인들의 유족은 약 7천만원 상당의 위로금을 지급 받습니다. 굳이 한국 현대사와 비교하자면 이게 말하자면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꼴입니다.

명분의 차원에서는, (한국의 일부 "친러파"들이 열심히 따르고 있는) 러시아 프로파간다는 러시아의 붕괴를 도모하고 러시아 문화를 말살시키려 하고 러시아인들을 인종적으로 혐오하는 "악마 서방", 그리고 그 "악마 서방"이 지휘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극우 나치"들의 "만행", "적들의 흉모"를 분쇄해야 하는 "특수 군사 작전"이라는 이분법적 세계의 그림을 열심히 그리고 있습니다.

전쟁에 지원 입대하고 침략의 현장으로 가는 러시아 병사들은, 그들이 "조국의 불구대천의 원수, 서방의 반러주의자와 우크라이나 나치"를 치러 간다고 스스로 믿고 있는 경우들이 빈번합니다. 이 실리와 명분의 결합은 푸틴 침략 전쟁의 지속을 가능케 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서방과 우크라이나로서는 가장 논리적이고 효율적인 수사적인 전략은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동구권 지식인 등에 대한 "포섭"이 우선시되었던 냉전 시대처럼, 가장 효율적인 전략은 아마도 러시아 민심에 대한 포섭책이었을 겁니다. 푸틴의 프로파간다가 서방에 대한 적개심을 고무하고 있는 반면, 서방의 효율적인 선전 전략 차원의 대응은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우정""배려"를 강조했어야 했을 겁니다.

예컨대 푸틴의 부분 동원령 때문에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로 망명을 시도한 수십 만 명의 러시아 유망 인구의 체류를 허해주고 그 복지에 신경 써주고 이를 가시화시켜 "서방은 푸틴의 독재와 싸우되 러시아 인민들에게는 그 어떤 적의도 없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푸틴이 자신의 국가를 "러시아 문화의 보호자"로 설정하는 데에 반하여 서방은 오히려 러시아 문화 행사 (클래식 연주, 극장 공연 등) 지원함으로써 이 부문에서 푸틴과 "경쟁"을 벌이는 게 맞았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인들의 80%가 구사하고 있는) 러어에 대한 존중이나 러시아 문학이나 음악에 대한 친화적 태도를 보여주고 러시아의 반전 운동, 반푸틴 운동을 벌이는 시민 사회와 소통하면서 "우리가 극우가 아닌, 독립과 민주주의를 위해서 싸우고 있으며 러시아 문화를 존중하는 선한 이웃들"이라는 부분을 강조했으면 좋았을 겁니다. 그렇게 했으면 푸틴이 기대고 있는 러시아 민심에는 아마도 균열이 갔을 것입니다.

아쉽게도 수정 자본주의 시대이었던 냉전 시기와 달리 신자유주의 시대의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민심 포섭" 프로그램을 지원, 운영할 만한 국가적인 계획력이나 조직력부터 없었습니다. 부분 동원령으로부터 도망치는 이들을 위한 정착 프로그램 등도, "반이민 정서"가 팽배해 있는 오늘날 유럽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사실 신자유주의 시대의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그 어떤 대규모적인 선전 전략을 입안, 성립, 가동할 만한 조직력도 없었던 것이죠. "큰 그림""전략"이 없는 상황에서는 판치는 건 소셜 미디어의 "캔슬 문화"의 논리이었습니다. 그 논리는 "전략"이라기보다는 즉흥적인 감정 (의분 등)을 바로 그 때 그 때 만족시켜주는 걸 그 목표로 하는 것이고, 그 단기성과 그 근시안에 있어서는 단기 이익 중심의 신자유주의 논리와 궤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결국 러시아 클래식 연주자 등에 대한 "캔슬", 푸틴의 프로파간다 제국이 확대, 왜곡 해석하여 "영구불변의 적 서방" 이미지 구축에 역이용하고 말았습니다. 서방에서는 전략과 비전 자체가 부재했다면, 우크라이나에서는 아쉽게도 러시아의 진보적인 시민 사화와의 "반독재, 반전 연대"라는 좌파적인 논리보다는, "국가""민족어" 등의 보수적 논리가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미콜라 쇼르스 (Mykola Shchors, 1895-1919) 등 소비에트 시대의 (우크라니아인 계열의) "혁명 영웅"들의 동상에 대한 철거 등 극히 보수적인 우크라이나 정부의 기억 정치는, 역시 푸틴의 프로파간다에 의해서 "과거에 대한 존중의 결여"라고 비판 받아 역이용되고 말았습니다.

저는 서방과 우크라이나 정부의 각종 조치들을 보다가는, 가끔가다가 "저들이 푸틴을 일부러 이롭게 하는 건가?"라는 회의를 거의 가질 정도이었습니다. 일부러 적을 이롭게 했다는 것보다는 그냥 신자유주의 시대 국가의 무능력과 보수성의 문제지만....좌우간, 러시아 사회를 놓고 저들이 여론전에서 푸틴에게 지고 말았습니다.

푸틴의 불법 침략에 제대로 맞서자면 러시아 민중에 호소할 줄 알았어야 했으며, 러시아의 진보적인 시민 사회와 연대할 줄 알았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를 대할 때에는 "국가""인민" 사이의 "차이"를 염두에 두고 "국가"와 대결을 해도 "인민"을 자기 편에 끌어들일 줄 알았어야 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서방과 우크라이나는 안타깝게도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돈을 쏟아부어도 아마도 2024년에도 큰 진척을 얻지 못할 것 같은 게 저의 예감입니다. 전쟁의 향방을 결정짓는 게 결국 '민심'이라는 사실을 무시하면 전쟁에서 이길 수가 없습니다.

(기사 등록 2024.1.9)  

* 글이 흥미롭고 유익했다면, 격려와 지지 차원에서 후원해 주십시오. 저희가 기댈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여러분의 지지와 후원밖에 없습니다.

- 후원 계좌: 우리은행 전지윤 1002 - 452 - 402383

* 다른세상을향한연대’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토론하고 행동합시다.

newactorg@gmail.com/ 010 - 8230 - 3097 / http://www.anotherworld.kr/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