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읽기

[박노자] "교권" 신화와 학교의 현실

by 다른세상을향한연대 2023. 8. 7.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러시아 혁명사 강의>, <당신들의 대한민국>, <우승열패의 신화>, <나를 배반한 역사>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서이초 교사의 극단적 선택, 그리고 이 사건과 때를 같이 한 현장 교사의 노동권, 인권 침해 사건들을 보면서, 제가 제 초등 학교 시절을 떠올리곤 했습니다. 제가 초교를 다녔던 시절인 1980년대 초반에는 소련은 엄격한 '-국가'이었습니다. -국가는 예컨대 같은 시기 남한의 군부 독재 국가와 그 성질을 좀 달리합니다.

군은 노골적인, 생물/생체적인 폭력을 다루는 기관인지라, 군부 통치하의 국가에서는 학교도 덩달아 폭력화됩니다. 교사가 종종 폭력적 장교나 선임병처럼 행동해, 우리가 <친구> 같은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끔찍한 체벌 장면들이 학교에서 실제로 자리 잡게 되는 것입니다. 한데 당은 폭압 기구라기보다는 통치와 사상 훈육의 기구입니다. 그래서 당-국가의 초등학교에서는 적어도 교사의 폭력은 전혀 없었습니다. 교사로서 굳이 폭력을 쓸 필요 자체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국가의 학교에서는 교사는 바로 당의 대표자입니다. 교사에 대한 학생의 폭력이나 폭언은 당 권위에 대한 도전 격이 되기에, 사실 상상 자체가 하기가 힘듭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틀림없이 시 당위 등 당국이 개입되는 큰 사건이 일어나기에, 조폭처럼 행동하는 최악의 폭력적 아이들도 적어도 교사의 시야에 들어가기만 하면 바로 얌전한 척해야 했습니다.

교사가 당의 대표자이기에, 굳이 학생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폭언을 할 필요조차 없었습니다. 말 안듣는 학생이 있으면 그 학생에게 "당신은 계속 이처럼 행동하면 당신 부모의 직장 단위 당국에 통보할 것입니다!" 라고 경고했다면 이미 그걸로 충분했습니다. 6살짜리 학생이라 해도 "부모 직장 단위 당국에의 통보"란 경고장의 의미를 알고 있었습니다. 이건, 부모들이 그 직장에서 당세포 회의나 노동조합 회의에 불려 "동무의 자녀에게 집안 교육을 어떻게 시키느냐"와 같은 질문에 공개적으로 답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평생 직장인 본인 소속의 직장 단위에서는 이렇게 체면이 구겨지는 것은 부모로서의 인생 일대의 비극일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교사가 그 부모의 인생에 줄 수 있는 엄청난 '영향'을 생각해서라도 교사 앞에서는 늘 바른 자세로 앉아 있어야만 하고, 질문에도 똑바로 답하고, 지시대로 행동해야 했습니다. -국가와 달리 당-국가는 노골적 폭력이라기보다는 복잡다단한 "행정 체계" 등을 통해 엄청난 훈육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 거죠.

한데 노골적 폭력 사용 여부만 빼면 1980년대의 소련과 대한민국의 의무 교육 현장의 교단은 차라리 '차이'보다 '흡사성'이 더 강했습니다. 양쪽은 국가주의 사회이었고, 양쪽에서는 교사는 국가적 훈육의 담당자로서 - 비록 월급은 좀 별로 높지 못하더라도 - 상당한 '권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소련, 남한뿐만 아니라, 사실 국가 주도의 초고속 개발을 경험한 어느 나라 (대만, 일본 등)를 봐도 교사의 위신은 대개 아주 높은 편에 속해 왔죠.

그 만큼 예컨대 그런 사회에서 수학 등 고난도의 과목들을 제대로 가르쳐주기도 하지만, 또 그 만큼 훈육주의, 교권주의, 학교 권위주의, 상명하달식 교육 등의 심각한 문제도 지닐 수밖에 없었습니다. 학교 권위주의는 개인의 심리에 사실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는 겁니다. 전 최근까지 아무리 노력해도 학교 체력 테스트를 통과할 수 없어 계속 좌절하고 운다는 악몽을 자주 꾸곤 했습니다. 그 만큼 - 남한과 다를 게 없는 - 1980년대 소련의 고난도의 강압적인 체육 교육이 제게 심적 트라우마를 안겨준 셈입니다.

개발 국가와 그 교육 체계의 명암을 다 이야기하자면 몇 권의 책이나 쓸 수 있지만, 개발 국가는 1990년대에 소련/러시아에서도 남한에서도 그 수명을 다했습니다. 러시아는 1990년대에 우왕좌왕했다가는 결국 보위부 출신들이 군림하는 행정 관료들의 독재로 재편됐지만,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핵심부까지 오른 남한은 제도적으로 민주화한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인 "부자 공화국"으로 재편됐습니다.

이제 의무교육 교사들이 대표하는 '국가'()공무원 집단보다는, 재벌 주주/고소득 전문 직종 종사자/관리자/부동산 소유주 등의 중상층 (전체 인구의 5-10%)은 비교할 수 없이 훨씬 더 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이 있기에 그들이 그 돈으로 최고 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사서 사법체계를 통해 얼마든지 개별적 공무원을 억누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사실 의무교육의 현장은 그리 중요하지도 않습니다.

자녀에게의 학력/사회 신분 대물림 과정에서는 학교 이상으로 명문대에 가게끔 해주는 학원들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재벌 대주주나 최고급 관료 아니면 한국에서의 그 누구 위에서도 안하무인 격으로 군림할 수 있는 이 중상층 엘리트들은, 학교 교사를 "서비스 노동자"쯤으로 인식하여 아주 쉽게 "진상 고객"의 역할을 맡곤 합니다. 이와 같은 학부모 관계에서의 비대칭성은, 많은 교사들의 일터를 지치고 아프게 만드는 "싸움터"로 만든 것입니다.

현실을 바로 직시합시다. 국가가 운영하거나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학교란 결국 계급들 사이에서의 역학 관계들이 강하게 작동하는 장입니다.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재벌/관벌 엘리트와 그 바로 밑의 중상층 엘리트들은, 학교의 현장에서도 그 패권을 행사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엘리트 계층에 속하지 않는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나 학교 직원들의 인권, 노동권 등은 심하게 침해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권위주의 시대의 "교권" 신화를 다시 좇아 가는 게 아니고, 모든 교육 현장의 참여자, 그리고 특히 어린 학습자와 교육 노동자들의 인권과 노동권을 확립, 옹호하는 것입니다. 학습자의 정당한 권리와 교육 노동자들의 노동권은 서로 충돌하는 게 전혀 아닙니다. 문제는 그 누구의 인권/노동권도 제대로 보호해주지 못하고 있는 교육 현장의 구조적 병폐에 있는 것입니다.

(기사 등록 2023.8.7)  

* 글이 흥미롭고 유익했다면, 격려와 지지 차원에서 후원해 주십시오. 저희가 기댈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여러분의 지지와 후원밖에 없습니다.

- 후원 계좌: 우리은행 전지윤 1002 - 452 - 402383

* 다른세상을향한연대’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토론하고 행동합시다.

newactorg@gmail.com/ 010 - 8230 - 3097 / http://www.anotherworld.kr/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