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존 오브 인터레스트 - 일상에 가까이 있는 악을 마주하기

by 다른세상을향한연대 2024. 7. 6.

박철균

이 영화는 2차대전 당시 나치독일의 유대인 집단학살이 일어났던 아우스비츠를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유대인이 어떻게 학살당했는지 보여주는 기존 작품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학살장면이 나오지 않고 심지어는 유대인도 거의 나오지 않는다. 아우스비츠 내부도 제대로 나오지 않고(아주 맨 마지막에 박물관이 된 현장만 나올 뿐이다.), 아우스비츠 바로 옆에 자리잡은 아우스비츠 소장 루돌프 회스의 고급 사택을 중심으로 아우스비츠 주변만 나올 뿐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관객에게 직접적인 표현보다 더 적나라한 방법으로 이 끔찍한 제노사이드를 각인시킨다. 바로 끔찍한 살육과 야만의 "악의 소굴"은 머나먼 마왕성이 아닌 우리 일상 가까운 곳에 있다는 점을 각인시킨 것이다.

아우스비츠 바로 옆 회스의 집은 멋들어진 풀장과 정원에서 사람들이 하하호호하며 행복해 하고, 회스는 자기 아이들과 쉬는 날마다 말을 함께 타고 요트를 함께 타는 등 매우 가정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아내는 수많은 자녀와 하인 사이에서 그림같은 집에 있다고 이 행복이 깨지길 원하지 않는다.

영화는 주되게 이 가족의 일상을 보여 주는 듯 하면서, 그 포장을 넘어서는 진실이 계속 음향을 통해 폭로된다. 그 가족이 평화롭게 보내는 일상에서도 계속해서 아우스비츠에서 들리는 고함치는 소리, 채근하는 소리, 총소리, 그리고 비명소리가 은은하게 들린다. 그리고 담장 너머 소각장의 연기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뿜어져 오는 섬짓함도 마주할 수 있다.

회스 소장의 일상 사택 풍경은 그저 그런 평화로운 일상일지 몰라도, 그 가족의 평화로운 일상을 위해 얼마나 많은 수백만의 사람이 학살되고 목숨을 잃어가는지 숨겨지고 기만당하는 상황을 체험하게 된다. 사실 이 영화는 악을 다루지만 악인은 없는 것처럼 애써 덤덤하게 담아 보려고 하지만, 이 가족의 행동을 통해 그 악은 불가피하게 새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루돌프 회스는 사업가를 만나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학살한 유대인 시신을 대량 소각하는 소각장을 집안 집무실에서 논의하고 있고, 아내 헤트비히는 틈만 나면 독일인 가정부 소피에게 "누구 때문에 먹고 사는데"라며 화를 내고, 심지어는 "너 같은 건 내 남편에게 부탁해서 쥐도 새도 모르게 죽일 수 있다."는 협박도 서슴치 않는다.

그렇게 우리는 소위 ""은 빌런에게만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함께 공존하며 그 일상 속에 우리 역시 "평범한 악"의 주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그렇게 가족과 동식물을 끔찍히도 아끼면서 유대인 수백만을 학살한 루돌프 회스같은 사람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는 가족을 위해 전장에 나가서 돈 많이 벌어온 사람일지 몰라도, 베트남 현장에서는 잔혹하게 베트남 시민을 학살한 사람일 수 있고 한국의 범죄와 치안을 책임지며 가족에게 지극정성인 수사과 경찰은 경찰서로 들어가면 장애인운동, 노동운동, 시민사회운동 등 한국의 다양한 권리 활동에 불법 마크를 들이대며 탄압하고 짓밟으려 할 수 있다.

일상에서 만나는 친구나 가족에겐 의리와 사랑이 넘치지만, 인터넷만 켰다 하면 여성혐오, 전장연 혐오, 민주노총 혐오, 이주노동자 혐오 등 각종 혐오를 인터넷에 대량으로 써 내려가며 사회적 약자를 힘들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생각이 영화를 보는 내내 떠올려 져서 이 "악인은 아닌 것처럼 보이는 악의 일상"은 매우 불편하게 다가왔다.

감독 조나단 글레이저는 이 영화로 미국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국제장편영화상을 받고 손을 떨면서 "'그들이 그때 무엇을 했는지 보세요'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하는지 보세요'라고 말해야 합니다. 가자 전쟁의 "비인간화"에 어떻게 "저항"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말했다. 극우 시오니스트인 총괄 프로듀서가 보는 앞에서 감독은 자신도 역시 유대계이면서 커리어를 걸고 용기를 낸 것이다.

이 영화에서 주된 피해자로 나오는 유대인이 지금은 이스라엘에서 마치 회스의 집처럼 평범한 선처럼 보이지만, 가자지구에서 수십만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지금도 대량학살하고 있는 "제노사이드 전쟁범죄자"라는 주요 악이자 가해자가 된 것에 대한 일침이 나올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가해자도 될 수 있다는 현실에서 이 영화는 더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슬프게도 제노사이드는 영화의 주요 배경이던 2차 대전 뿐만 아니라 지금도 진행되고 있고, 우리 일상 곳곳에서도 전쟁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상 속에 외면하는 온갖 사회적 소수자의 혐오와 차별이 만연하다. 그렇지만, 그 현실을 슬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뭔가를 바꾸기 위해서 무엇을 행동할지 고민하면 좋겠다.

영화에서도 밤 늦게 한 폴란드 소녀가 수용소 내 유대인 수감자가 일하는 노역 현장에 사과를 일일히 놓아두는 장면이 열화상 카메라로 찍힌다. 세계 곳곳에서 팔레스타인 반대 집회가 일어나듯이, 윤석열 정부 오세훈 시장 경찰이 한통속으로 장애인운동을 비롯한 시민사회운동을 탄압해도 그 탄압에 맞서 연대하는 시민이 있듯이 이 기만의 일상을 바꾸기 위해 계속해서 함께 행동하자.

(기사 등록 2024.7.6)  

* 글이 흥미롭고 유익했다면, 격려와 지지 차원에서 후원해 주십시오. 저희가 기댈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여러분의 지지와 후원밖에 없습니다.

- 후원 계좌: 우리은행 전지윤 1002 - 452 - 402383

* 다른세상을향한연대’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토론하고 행동합시다.

newactorg@gmail.com/ 010 - 8230 - 3097 / http://www.anotherworld.kr/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