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164

국가는 자본가 계급을 조직한다 스티븐 마허STEPHEN MAHER 번역: 두 견 미국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서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국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는 글이다. 자본주의를 유지하려면 치열하게 경쟁하는 기업들이 부자연스러운 일, 즉 서로 협력을 해야 한다. 국가는 이러한 계급 규율을 육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반면에 우리는 우리 자신의 힘을 키워야 한다. 자본주의 국가와 좌파의 정치적 대안에 대해서 연구해 온 스티븐 마허는 Socialist Register의 부편집장이자 (2022)의 저자이다. 그는 현재 온타리오 공과대학교의 박사후 연구원이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22/05/capitalism-neoliberalism-state-ge-business-roundtable 모두가 동의.. 2022. 8. 18.
중세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파울로 테데스코PAOLO TEDESCO 번역: 두견 계급 사회는 자본주의와 함께 시작되지 않았다. 고대와 중세 세계에는 고유한 착취 시스템이 있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은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궁극적인 종말은 우리에게 앞으로 펼쳐질 일에 대해 무엇을 알려주는지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의 필자인 파올로 테데스코는 튀빙겐Tübingen 대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고대 말기와 중세 초기의 사회 및 경제사, 비교 농업사, 다양한 유형의 사회에 걸친 농민들의 운명, 그리고 역사유물론이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22/04/marxism-middle-ages-medieval-antiquity-economic-theory.. 2022. 8. 3.
오늘날의 반정신의학 이안 파커Ian Parker 번역: 두견 이 글은 정신적 고통을 의료화하려는 정신의학의 시도와 그것에 대한 반발로서 등장한 반정신의학적 대안의 의미와 발전 과정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반정신의학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던 운동으로서, 정신질환의 표준적 치료법(정신경련치료, 뇌엽전리술, 항정신병 약물 사용 등)이 가지고 있는 잔혹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였다. 기존의 정신의학이 '광기'를 뇌의 질병으로 간주해서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별하고, 비정상으로 구분되는 정신질환자들을 분리-격리하는 것을 ‘과학’으로서 합리화시켰다는 비판이었다. 반정신의학은 이러한 전통적 의료모델을 거부하고, ‘광기’를 사회적 구성물이나 사회가 특정인들에게 부과하는 압력의 효과로 간주했다. 대표적 학자들로는 토마스 .. 2022. 7. 22.
[박노자] 미국의 헤게모니와 '친해진' 진보?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인제 어언 15년이나 지났습니다. 지금도 많이 그리운 노회찬 선생을 모시고, 제가 그 때에 그의 오슬로대 특강을 주선하고 통역을 맡았습니다. 그 때에 강의 주제는 미국의 대중국 전략에 있어서의 한반도이었습니다. 노 선생은, 그 당시에 뜨거운 현안이었던 정부의 제주도 강정리 해군 기지 건설안을 이야기하면서, 이는 궁극적으로 중국에 대한 미국 측의 견제 전략의 일환이지 대한민국의 자주적인 움직임은 아니라고 못을 박았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꿈이란 그 누구.. 2022. 7. 14.
[박노자] 퇴보하고 있는 세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저처럼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침략을 결사 반대하는 러시아 출신들 사이에서는 러시아 국가의 "퇴영적 성격"은 늘 중심적 화제 중의 하나입니다. 생각해 보면... 러시아 국가와 군대의 행동이 21세기에 벌어진다는 것조차를 가끔가다 믿기가 어려울 지경입니다. 타국에 대한 침공을 미국도 최근 이라크나 아프간에서 벌였지만, 러시아는 침공에 더하여 이제 슬금슬금 군사 점령한 우크라이나 국토를 러시아에 병합하려는 움직임까지 본격화합니다. 군사 침략을 통한 자.. 2022. 7. 2.
새로운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을 향하여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교조적 해석을 거부하고 혁신적 시도에 앞장서는 것으로 주목받는 좌파 학자인 자이루스 바나지Jairus Banaji의 인터뷰이다. 자이루스 바나지는 인도 출신의 마르크스주의 학자이며 역사유물론, 이슬람의 역사, 자본주의와 농민, 인도의 노동운동 등에 대해 많은 연구와 저술을 남겨 왔다. 근래에는 를 출간했다.(번역: 두견) 출처: https://www.historicalmaterialism.org/index.php/interviews/jairus-banaji-towards-new-marxist-historiography * 당신이 출판한 작업들을 보면 가치 형태 이론(상품에서 자본으로: ​​마르크스 자본에서 헤겔의 변증법)에서 파시즘 비판 이론(파시즘: 유럽과 인도에 관한 에세이), 마.. 2022. 6. 28.
마르크스, 사회적 재생산에 관한 페데리치의 개입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번역: 두 견 실비아 페데리치(Silvia Federici)가 지난해 출간한 새로운 저서 (PM Press, 2021)에 대한 서평이다. 비록 이 책이 한국에 출간된 것은 아니지만, 이 서평은 자본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적 재생산 이론에 대한 여러 흥미있는 쟁점들을 짚고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해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이고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 2022. 6. 16.
[박노자] 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는가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서 시작된 전쟁에 대해서 그 배경과 목적, 역사적 뿌리 등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박노자의 최신 글 2개를 묶어서 소개한다. 러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통찰력을 보여 준 필자의 이 글들은 우리가 지금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 러시아: 침략과 후진성 '침략'의 의도들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단순하고, 분석하기 쉬운 것은 '자원 확보'나 '전략적 요충.. 2022. 3. 20.
자연과 마르크스 생태학의 귀환 - 2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는 얼마전 생태사회주의 사상가들의 계보학에 관한 저서인 Return of Nature을 출판했다. 이것을 계기로 마르크스의 사망에서부터 주요 생태사회주의 사상가들이 걸어온 길, 그의 새 책과 마르크스의 생태학의 관계, 현재 마르크스주의 생태 사상의 가장 두드러진 논쟁 등에 대해 이야기한 인터뷰이다. 존 벨라미 포스터는 오리건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서 미국의 사회주의 잡지 의 편집자이다. 그는 여러 권의 정치경제학, 제국주의 이론과 관련한 책의 저자이며 무엇보다 마르크스주의 생태학에 관한 이론적 기여와 저술로 유명하다. 한국에도 , , , , 등이 번역돼 있다. 비록 이 한국에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기후 위기 시대에 생태사회주의에 대한 더 심도깊은 논의와 .. 2022. 2. 22.
자연과 마르크스 생태학의 귀환 - 1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는 얼마전 생태사회주의 사상가들의 계보학에 관한 저서인 Return of Nature을 출판했다. 이것을 계기로 마르크스의 사망에서부터 주요 생태사회주의 사상가들이 걸어온 길, 그의 새 책과 마르크스의 생태학의 관계, 현재 마르크스주의 생태 사상의 가장 두드러진 논쟁 등에 대해 이야기한 인터뷰이다. 존 벨라미 포스터는 오리건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서 미국의 사회주의 잡지 의 편집자이다. 그는 여러 권의 정치경제학, 제국주의 이론과 관련한 책의 저자이며 무엇보다 마르크스주의 생태학에 관한 이론적 기여와 저술로 유명하다. 한국에도 , , , , 등이 번역돼 있다. 비록 이 한국에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기후 위기 시대에 생태사회주의에 대한 더 심도깊은 논의와 .. 2022. 2. 19.
삶 만들기 인가, 죽음 만들기 인가?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번역: 두견 팬데믹이 드러낸 자본주의적 생산과 재생산의 모순에 대해 분석하는 이 글은 아직 오미크론 변이가 등장하기 전에 주요 국가들에서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던 지난 10월초에 발표됐다. 이 글의 필자인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이고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의 저자이다. 출처: https://www.midnightsunmag.ca/life-making-or-death-making/ .. 2022. 1. 2.
[박노자] 소련 망국의 30주년 - 구소련 좌파는 폐허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을 것인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오늘날은 소련 망국의 30주년입니다. 딱 30년 전에, 1991년 12월 25일 밤에 망치와 낫이 그려전 홍기는 크렘린궁에서 내려지고 제국 시대의 해군기인 러시아 삼색기가 게양됐습니다. 혁명 이후 74년 영욕의 역사는 이렇게 그 막이 내려진 것이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그 때 소련의 해체가 "완료"됐다는 데에 대해 거의 신경을 쓸 겨를도 없었습니다. 이미 소련이라는 국가는 식.. 2021.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