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맑스주의10

[박노자] 자기 계발서들이 만드는 세계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제 세부적 전공은 한국 근현대 사상사입니다. 그걸 공부하면서 느낀 한 가지 재미있는 부분은, 개개인 사상의 놀라운 가변성 같은 것입니다. 한국적 근대의 시간이 압축적이고 너무나 빨랐던 만큼, 한 개인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서로 상당히 다른 여러 사상을 순차적으로 표방할 수 있었습니다. 예컨대 월북해서 북조선에서의 다산 연구의 기반을 다진 최익한 (1897-?)이라는 분이 계셨습니다. .. 2019. 10. 11.
[박노자] 페미니즘이 매력적인 이유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저는 근본적으로 맑스주의자입니다. 한참 유행과 떨어져 있지만, 지금도 적어도 대규모의 생산수단에 대한 직접생산담당자들의 민주적인, 밑으로부터의 관리와 민주적 계획 경제가 멸망으로 치닫고 있는 이 세계를 구원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단기적, 중기적으로는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자본주의에 그다지 미래가 없다고 지금도 보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맑스주의를 고수한다 해도.. 2019. 4. 12.
'국제사회주의 전통'을 돌아보기 데이빗 렌턴(David Renton) [오늘날 국제적 차원에서 혁명적 좌파는 여러 어려움들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것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많은 성찰과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국제사회주의경향(International Socialist Tendency)의 대표적 조직인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분열과 위기는, 오늘날 사회변혁을 지향하는 좌파들에게 여러 가지 교훈을 던져 왔다. 아래 글은 2013년에 SWP 내부 논쟁 과정에서 나온 글로서, SWP가 ‘레닌주의’ 모델을 택하면서 벌어진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지도부가 전술적 변화의 판단을 독점하며 이견에 개방적이고 관대하지 않는 문화가 형성된 것이 변화된 현실에 대한 새롭고 혁신적인 접근을 가로막았다는 것이다. 번역에 수고해 준 이상.. 2017. 2. 6.
레닌주의를 넘어서 루크 쿠퍼(Luke Cooper) [올해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고, 관련해서 레닌과 레닌주의의 문제도 쟁점이 되고 있다. 이 글은 ‘레닌주의’라고 정식화돼 많은 좌파들이 지향해 온 조직 이론과 모델이 어떤 심각한 문제를 낳아왔는지 다루고 있다. 러시아 혁명 초기에 엄혹한 상황 속에서 정치적 다원성을 차단하고 당과 지도부의 하달식 지도를 통해 혁명을 지키고자 한 시도가 권위주의라는 문제를 낳았고 ‘아래로부터 사회주의’와 어긋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레닌주의를 둘러싼 여러 논란들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이 글의 필자인 루크 쿠퍼(Luke Cooper)는 영국의 사회주의자로서 사이먼 하디(Simon Hardy)와 함께 등을 썼고, ‘반자본주의 경향’(Anticapitalist Initiative)에서.. 2017. 1. 27.
잃어버린 투쟁과 연대의 역사 에릭 블랑(Eric Blanc) [맑스주의의 역사는 비록 약점이 있기는 했지만, 단지 ‘백인 남성 공장 노동자’만이 아니라 모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며 함께 투쟁해 온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하는 글이다. 특히 그 악명과 달리 카우츠키가 앞장 서 이런 방향을 제시했었고 1905년 러시아 혁명에서 이것이 실천에 적용됐었던 점을 지적한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Eric Blanc)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볼셰비키와 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6/08/marxism-class-white-workers-socialists-rac.. 2016. 12. 27.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라는 시대정신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라는 시대정신: ‘소련 이후’의 사회주의에 대한 짧은 생각 윤미래 소련 이후의 시대에 맑스주의자로 산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1980년대 후반 동구권 사회주의가 붕괴하면서 세계 계급투쟁의 판세는 크게 바뀌었고, 맑스주의는 공식적으로 실패한 이념이라 선언되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언을 선포했다. 한국의 운동은 90년대 중반까지 조금 더 명맥을 유지했지만 이내 체제내화의 길을 밟기 시작했다. 사회주의는 아주아주 별난 사람들이나 쓰는 케케묵은 사어가 되었고, 우리 세대는 자본주의 체제가 인류의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을 사회적 상식으로 알고 살았다. 이 시대에 사회주의자로 산다는 것은, 역사적인 시류의 한 자락에 올라타는 것이 아니라 시류를 거스르는 ‘미친놈’이 되는 것을 감.. 2016. 4. 14.
맑스주의자로서 여성억압에 대해 분석하고 실천하기 - 논쟁에서 제기된 두 가지 쟁점에 대한 견해 김민재 ['변혁재장전' 활동가 전지윤이 '노동자연대'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면서 마르크스주의와 여성 억압에 대한 논쟁이 전개돼 왔다. 아래 글은 이 논쟁에 개입하면서 몇가지 쟁점에 대해 또다른 측면에서 새로운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논쟁이 더 풍부하고 깊어질 수 있도록 날카롭고 진지한 의견을 기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작년 9월, 전지윤 동지가 사회재생산이론, 맑스주의 전통과 여성억압의 관계 등에 대해 몇 가지 이론적 쟁점들을 제기하면서 쓴 (이하 )에 대해 정진희 동지가 (이하 )이라는 반론글을 작성하였고, 최근에는 그에 대한 전지윤 동지의 재반론 (이하 )가 나왔습니다. 정진희 동지의 입장은 소속 조직 노동자연대의 입장으로 보아도 무방.. 2016. 1. 15.
레닌주의 논쟁 - 신화를 벗겨내고 남은 유산 찰리 포스트(Charlie Post)번역자: 김민재 [찰리 포스트는 혁명적 사회주의자이며 미국의 사회주의 조직인 ‘연대’(Solidarity) 소속의 활동가이다. 레닌주의란 무엇이고 오늘날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토론에 기여하는 글이다. 이 글의 출처는 http://rs21.org.uk/2015/03/08/leninism-2/ 이다.] 두 가지 사태 발전이 혁명적 사회주의 조직에 대해 재개된 논쟁에 불을 붙였다. 한편으로는, “신좌파 정당들”의 출현과 ‘혁명적 좌파’의 계속된 위기(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ocialist Workers Party; 이하 SWP]의 최근 분열에서도 드러난)가 있었다. 이는 혁명가들로 하여금 혁명적 노동계급운동이 어떻게 건설되고 조직되어야 하는지와 관련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2015. 11. 17.
저항을 위한 토대 건설하기 매튜 브렛 (Matthew Brett)번역: 박상우 이 글은 캐나다의 사회주의 조직 ‘뉴 소셜리스트(New Socialist)’의 지도적 활동가인 앨런 시어즈(Alan Sears)의 책 “새로운 좌파: 미래의 역사” (The Next New Left: A History of the Future[Fernwood Publishing, 2013] - 이하 )를 서평한 글이다. 비록 이 책이 아직 이 나라에 출판되진 않았지만, 이 책의 내용을 요약소개한 것이기도 한 이 서평이 좌파 정치와 운동의 새로운 혁신에 대한 고민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번역 소개한다. 수고롭게 번역해 준 박상우, 꼼꼼하게 교정 봐 준 남수경 동지에게 감사를 전한다. 이 글의 원문은 http://newsocialist.org/788-b.. 2015. 8. 18.
억압에 맞서 진정한 단결을 위해 - 분리주의 비판을 넘어서 이상수 억압, 정체성 정치와 분리주의 억압은 분열을 낳는다. 억압받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단결해서 싸우는 데 걸림돌이 된다. 특별한 인식과 노력이 없다면 억압에 맞선 투쟁도 분열하기 십상이다. 1960~70년대 미국에서는 인종차별에 맞선 공민권운동과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반전운동,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에 맞선 여성운동이 크게 성장했다. 이 운동들은 실제 인종차별을 개선하고 미 제국주의 전쟁을 패배시켰고 여성의 권리를 높이는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 여성운동은 당시 미국의 사회운동에서 성차별이 만연했던 조건에서 탄생했다. 운동 내에서 거듭 좌절을 겪은 여성 활동가들이 바로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섰기 때문에 남성에 대한 적대감이 여성운동 내에 널리 자리 잡았다. 남성인가 여성인가 하는.. 2015.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