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닌62

고민을 나누고 함께 행동하기 위한 대화가 필요합니다 김영재 최근 정성진 교수의 발표에 대한 이정구 동지의 반박 기사를 읽고 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글을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제가 레닌과 러시아 혁명에 대한 고민과 공부가 부족하다보니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부족하지만 이번 논쟁에 대한 현재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이번 논쟁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레닌과 러시아 혁명이라는 굵직한 주제입니다. 저는 아직 레닌과 러시아 혁명에 대한 고민과 공부가 충분치 못하니 현재 참가하고 있는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레닌과 러시아 혁명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고 고민하여 제 나름의 생각을 정리한 뒤에 소박한 글을 써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이번 논쟁에서 부차적인 부분인 이정구 동지의 서론과 결론에서 보이는 .. 2017. 5. 27.
길을 잃고 헤매던 레닌의 뒤를 그대로 쫓을 것인가 전지윤 정성진 교수에 대한 노동자연대 이정구 동지의 비판글(http://wspaper.org/article/18693)을 읽으면서 안타깝고 서글픈 기분이 들었다. 당연히 누군가의 의견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고 비판을 제기하는 것은 언제든 필요한 일이다. 그런데 이정구 동지의 글은 앞부분과 결론에서 단지 정치적 비판을 넘어선 날선 언어와 표현으로 정성진 교수를 비난하고 있다. 제목부터 “우경화”라며 매도하고 있고 “최종 전향”, “이론적 논의만 일삼은 한 책상물림”, “진정한 학술주의자”, “개혁주의자”같은 딱지를 붙여대고 있다. “혹시 자유주의자나 심지어 우익으로까지 변하랴”하는 비아냥까지 덧붙였다. 거의 인신공격으로 느껴질 정도다. 정성진 교수가 “계급투쟁과 거리를 둔 채 순전한 이론적 논의만 일삼은” .. 2017. 5. 27.
의미있는 레닌 비판을 위하여 의미있는 레닌 비판을 위하여: 이상이 아니라 현실과의 괴리에서 시작해야 한다 윤미래 최근의 레닌주의 논쟁이 오래 붙들고 있던 화두와 맞닿아 있어, 차제에 내가 해온 고민들을 정리하고 질문을 나누어보고 싶어 짧게 글을 썼다. 누군가 이것을 읽고 내 모자란 지식을 보충해주고 진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그게 안 된다면 최소한 이 고민을 이해하고 같이 해준다면 말할 수 없이 기쁠 것 같다. 우선 밝히고 싶은 것은 내가 레닌주의를 하나의 정답으로서 내세우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레닌주의는 신주단지가 아니다’는 말에 원론적으로 동의한다는 것이다. 인식은 역사를 따라잡지 못하며, 이론은 실천의 총화에 불과하다. 미래의 역사가 갈 방향에 대해 백 년 전의 이론과 실천이 최선의 정답을 제시하고 있다고 믿는 것은 그.. 2017. 5. 24.
‘레닌주의’는 신주단지인가? 박노자(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이 글은 최근 레닌주의에 대한 재평가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에 관한 글이다. 박노자 교수는 이 글에서 레닌주의에 대한 비판적 재평가에 경직된 태도를 보이면서 신성불가침의 영역으로 여기는 태도를 비판하며 이론적 혁신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http://blog.hani.co.kr/gategateparagate/92734)을 옮겨 싣도록 허락해준 박노자 교수께 감사드린다.] 이 포스트는 분들의 정성진 선생님 비판 (https://wspaper.org/article/18693 )에 대한 제 반박입니다. 저는 레닌주의를 진정으로 따르자면 기존 레닌주의의 미비점, 결점부터 보완하여, 레닌이 다 못한 이론적 작업들을 해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2017. 5. 23.
트로츠키와 좌익반대파 - 신화와 진실 2 존 에릭 마로(John Eric Marot) [이 글에서 마로(Marot)는 SWP(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권위있는 지도자인 토니 클리프(Tony Cliff)의 분석이 지닌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트로츠키와 그가 이끌던 러시아 볼셰비키 당 내의 좌익반대파(Left Opposition)가 1920년대에 스탈린주의적 ‘사회주의 건설’과 억압에 맞서 노동계급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영웅적으로 저항했다는 대중적 신화를 무너뜨린다. 이 글의 필자인 존 에릭 마로는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이며 현재는 한국의 계명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아서 이처럼 관련된 글을 지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분량상 이 글은 두 번에 나누어 싣는.. 2017. 4. 25.
트로츠키와 좌익반대파 - 신화와 진실 1 존 에릭 마로(John Eric Marot) [이 글에서 마로(Marot)는 SWP(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권위있는 지도자인 토니 클리프(Tony Cliff)의 분석이 지닌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트로츠키와 그가 이끌던 러시아 볼셰비키 당 내의 좌익반대파(Left Opposition)가 1920년대에 스탈린주의적 ‘사회주의 건설’과 억압에 맞서 노동계급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영웅적으로 저항했다는 대중적 신화를 무너뜨린다. 이 글의 필자인 존 에릭 마로는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이며 현재는 한국의 계명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아서 이처럼 관련된 글을 지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분량상 이 글은 두 번에 나누어 싣는.. 2017. 4. 14.
코민테른 초기의 당내 민주주의와 오늘날 존 리델(John Riddell) [코민테른 초기에 추구했던 조직 모델이 개방적이고, 유연하고, 포괄적이었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오늘날 많은 소규모 좌파들이 추구하는 모델이 그것과 어긋나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글이다. 이런 비개방성과 경직성이 오늘날 좌파의 위기와 분열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존 리델(John Riddell)은 캐나다의 사회주의자이고 코민테른 역사에 대한 탐구와 재해석으로 국제적 좌파에 큰 기여를 해 왔다. 우리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아서 이처럼 관련된 글을 지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https://johnriddell.wordpress.com/2013/02/20/party-democracy-in-lenins-c.. 2017. 3. 22.
볼셰비즘과 혁명적 사회민주주의 라스 리 [내년은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관련해서 러시아 혁명의 의의와 교훈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계속하고자 한다. 역사학자인 라스 리(Lars T. Lih)가 책을 중심으로 볼셰비키와 사회민주주의와의 관계, ‘새로운 종류의 당’에 대한 기존 통설을 재해석한다. 레닌은 독일 사회민주당을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했고, 그것과 대립되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2905 레닌의 소책자 (그가 마지막으로 쓴, 기사 이상의 분량이 되는 글).. 2016. 9. 26.
레닌의 당은 어떻게 ‘볼셰비키’ 당이 되었는가 라스 T. 리 내년은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관련해서 러시아 혁명의 의의와 교훈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계속하고자 한다. 레닌과 볼셰비키가 “새로운 유형의 당”을 만들기 위해 러시아 혁명조직으로부터 멘셰비키들을 배제하였다는 것은 그동안 좌파들 사이에 통설이 돼 있었다. 라스 리가 이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해석을 제기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2874 1898년부터 ‘Rossiiskaia sotsial-demokraticheskaia rabochaia part.. 2016. 9. 8.
“우리는 꿈꾸어야 한다!” “우리는 꿈꾸어야 한다!” - 레닌의 후기 활동에서 의 메아리 라스 T. 리 이 글은 라스 리가 레닌과 에 대해서 한 강연의 내용이다. 강연은 2010년 6월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국제사회주의조직(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의 ‘사회주의 2010’(Socialism 2010)에서 이뤄졌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1980 레닌의 를 다시 볼 기회를 갖게 되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제가 레닌의 생애 전체에 대한 전기 연구를 막 마친 시점에 말입니다. 제가 발견한 .. 2016. 6. 20.
민주집중제, 핵심을 계승하며 새롭게 발전시키자 민주집중제, 핵심을 계승하며 새롭게 발전시키자 - '어떤 공식의 운명'에 대한 논평 윤미래 에서 라스 리는 ‘민주적 집중주의’라는 단어가 볼셰비키들의 문헌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검토한 후 크게 두 가지 결론을 내놓는다. 첫째, 민주적 집중주의는 1905년 혁명 직후의 짧은 기간 동안만 작동되었다. 둘째, 민주적 집중주의라는 단어는 1906~08년과 1920~21년 동안에만 문건에 등장하며 두 시기에 각각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이에 근거하여 라스 리는 “레닌이 볼셰비즘에 고유하거나 본질적인 ‘민주적 중앙집중주의’라는 특정한 조직 철학을 가졌다는 일반적인 추정이 일종의 신화”라고 주장한다. 라스 리가 어떤 동기에서 민주집중주의라는 개념을 해체하거나 최소한 ‘민주’집중제와 민주‘집중’제라는 동음이의어로 .. 2016. 3. 29.
어떤 공식의 운명: ‘민주' 집중주의에서 민주 '집중주의’로 역사학자인 라스 리(Lars T. Lih)가 볼셰비키와 ‘민주집중주의’에 대한 기존 통설을 재검토하며 신화 해체를 시도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https://johnriddell.wordpress.com/2013/04/14/fortunes-of-a-formula-from-democratic-centralism-to-democratic-centralism/ 블라디미르 네프스키(1876~1937)는 (1920년대에 쓰인 자서전적 스케치의 구절을 빌려오면) “보통의 당 활동가”로서 볼셰비키 지하운동에서의 전업 활동가의 삶을 살았다. 1897년에 당에 가입한.. 2016. 3. 21.